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기가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는?

육아

by 나홀렙 2023. 1. 11. 23:07

본문

아기가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는?

아기감기는 어른보다 아이들이 훨씬 잘 걸리는 질병이고 소아의 다른 모든 질병을 합한 것보다 발병률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아기들은 보통 엄마로 부터 면역성을 받아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생후 6개월 까지는 감기에 잘 안 걸리다가 면역성이 떨어지는 6개월 부터 감기에 잘 걸리기 시작 합니다.

생후 6개월 부터 한살 반이나 두 살까지가 가장 감기가 잘 걸리는 시기여서 일년에 5~8번 정도 감기에 걸려 병원에서 살다시피 하는 아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아기도 두돌이 지나면서 부터는 감기에 덜 걸리기 시작 합니다.

6개월 이전의 아기는 감기가 심하게 걸려도 밖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대수롭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가래가 조금 끓고 가르릉거리는 정도인데도 진찰해 보면 세기관지염인 경우도 있습니다.

어린 아기의 감기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도 갑자기 나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기가 걸린거 같으면 소아과 의상의 진찰을 꼭 받아야 합니다.

아이들이 감기에 걸리면 대부분 전신 증상과 소화기 증상이 같이 나타 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물론 아이마다 특성이 있어서 어떤 아이는 콧물 나는 감기에 잘 걸리고 또 어떤 아이는 열이 나는 감기에 잘 걸리기도 합니다.

그런가하면 어떤 아이는 두통과 근육통이 동반되기도 하고 목이 아픈 아이도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증상을 보이든 감기는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치료해야 합니다.

감기는 치료 받는 동안 중상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미열이나 재채기만 약간 하던 아이도 치료받는 동안 목이 아프기도 하고 가래와 기침이 심해지기도 해서 힘들어 할수 있습니다. 치료를 한다고 감기 증상이 바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